전체 글 검색 결과
남들이 전혀하지 않는 틈새시장에 들어가서 큰 수익을 노리는 사람들은 두려움을 느끼는 것일까? 두근두근하고 혹시 실패할까봐 두려운건 분명히 있을거다. 하지만 그게 진짜 두려움일까? 살만하니까 틈새시장에서 세상을 조져보려는 마음도 가질 수 있다. 감정이 두려움이라는 단어와 비슷해보일 뿐이다. 신생 IT기업같은 곳에 투자하는 마음 또한 같은 맥락에서 진정한 두려움일 수는 없다. 진짜 두려움은 뭘까? 뭔가 해보려고하거나 잔머리가 굴러가는 상태가 아닌 상태라고 볼 수 있다. 필수적이고 단 하나밖에 없는 선택지이기때문에 정말로 어쩔 수 없이 선택하게 되었기 때문에 느껴지는 감정. 적진에 들어갔을 때의 그저 두려운 느낌이다. 미래에 대한 기대감 따위는 맨마지막에나 달성되는 것이고 그 과정 중에 단 한줌의 허세나 들뜬..
투자자들은 이득을 얻기위해 달려간다. 산 정상의 기분좋은 느낌을 느끼고자 달려간다. 그런데 등산 장비를 갖추고 들머리로 가는게 아니라 그냥 우선 정상으로 부터 시작한다. 마음은 정상인데 몸은 그냥 집이다. 산에 가고싶으면서 산에 가질 않는다. 가만히 앉아서 정신력을 통해 산정상으로 순간이동하기 위해 모든 노력을 바치고 있다. 산 정상의 기분은 등산한 사람들에 대한 보상이다. 직접 두발로 고통스러운 언덕오르기를 경험한 사람에게만 주어지는 경치다. 그럼 두발로 오른다는 것은 대체 투자에서 무엇일까? 재무제표를 열심히 공부하는 것인가? 매의 눈으로 주가의 움직임을 포착해서 파도타기를 잘하는 것일까? 미친소리하지말자. 산에 대해서 공부한다고 그 산 정상에 갈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산에 대해서 일목요연하게 모든..
나에게 너무나도 소중한 것은 나누지 못한다. 하나밖에 없는 것은 주지 못한다. 너무 좋아하는건 나를 아무리 힘들게 해도 때릴 수 없다. 그렇기에 해줄 수 있는 것 그 이상을 원한다. 그렇기에 더이상 같이 있을 수 없다. 중요하지 않고 아무 생각이 없는 것만 나눌 수 있다. 별것아니라고 생각하기에 막 대하는 것도 가능하다. 세상의 진실은 그렇게 막 대하는 것도 필요하기 때문에 더 올바르게 작동한다. 남는것만 줄 수 있다. 두개는 있어야 준다. 내가 다 먹어야만 줄 수 있다. 나한테 별로 중요하지 않아서 적당히만 먹어도 만족하는 것만 나눌 수 있다. 소중한 것은 뒤에서 패시브적으로만 작동해야한다.
나를 행복하게 하는 것은 '그냥한다' 고 표현한다. 이거 왜해? 그냥. ( 다른사람이 아니라 나를 행복하게 하니까) 단 한가지 조건은 돈이 아닌 행위로부터 얻어진 행복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행위자체에서 얻어진 행복은 보상을 받지 않아도 마음이 출렁이지 않고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비로소 나눔이라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내가 그 행위로부터 기쁨을 얻어야만 등가교환되어 제자리걸음을 하는 게 아닌 확장되고 상승하는 단계로 갈 수 있다. 일할시간이 아니어도 하게되니까 당연하다. 나는 언제 행복할까? 누구나 맛있는걸 먹으면 행복하다. 인간이라면 보편적으로 공통적인 행복들은 굳이 생각할 필요가 없다. 그 어떤 것이든 0에서 시작하여 끝인 10에 도달하면 최고의 제품이자 행복한 능력을 얻어낼 수 있다. 어떤 분야던 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