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는 왜 어느정도 좋아하면서 전문가가 되려고하지 않았는지 알것같다. 개발을 하다보면 그야말로 '억까'를 당한다. 내가 잘못한것도 아니고 대단한 것을 요구하는것도 아닌데 말도 안되는 부분에서 버그가 발생하고 이해되지 않고 납득되지 않는 부분에서 정상적으로 활용하지 못하게 만드는 정말로 엿같은 업데이트문제, 보안문제, 권한문제 등이 너무 많다. 이것은 절대로 열심히 한다고해서 극복할 수 없다. 열심히한다고 잘해지는게 아니라는걸 몸이 알고 머리가 안다. 그저 화가 날 뿐이다. 이거는 누구는 좋아하고 누구는 좋아지 않는 취향의 문제가 절대로 될 수 없다. 누가 치면 아프듯이 그냥 아픈 거다. 많이 맞다보면 맷집이야 생기겠지만 그걸로 뭔가를 할 수 있는 건 없다. 또 조금 쉬면 맷집은 사라지고, 또 맞을일만..
소프트웨어 검색 결과
해당 코틀린 버전 오류때문에 검색을 해보면 android/build.gradle에 에서 ext.kotlin-version = '1.4.32' 이렇게 쓰인 버전을 바꾸면 된다고 나오지만 해당 파일에는 적혀있는게 없고 따로 추가를해도 아무런 반응이 없습니다. 버전이 업데이트되고 코틀린의 버전은 adroid/settings.gradle 이 파일에서 관리할 수 있습니다. 밑에 3번째 줄에 코틀린 버전을 적용한다고 떡하니 써있어도, 인터넷 답변이나 챗지피티가 build.gradle에서 수정해야한다고 하면 또 그런줄알고 계속 시도해보는 멍청함을 사람은 가지게 되나봅니다. 1.9.22 는 현재 최신 버전입니다. 시작도 안했는데 억울하게 실행도 못하는 많은 분들 응원합니다. 여러분의 탓이 아닙니다.
value를 기반하는것과 policy를 기반하는 것은 무슨 차이가 있을까? 똑같이 왼쪽으로 움직인다고 하더라도 누구는 '이런 상황에서는 왼쪽으로 움직인다' 라고 판단할 수 있고 누구는 '왼쪽이 더 높은 밸류를 가지고 있으니 왼쪽으로 움직인다' 라고 판단할 수 있다. 밸류 판단은 환경에 대한 정보와 경험이 있어야만 적용할 수 있다. 폴리시는 환경에 대한 정보 없이도 현재의 상태만으로 가치를 판단할 수 있다. 밸류 : 환경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함 폴리시 : 과거의 경험을 토대로한 정보를 기반으로 함 폴리시는 유용할 수 있지만 딱딱해서 잘못 적용될 수 있는 단점이 있을 것이고 밸류는 정보나 경험이 있어야만 하는 비용이 든다는 단점이 있을 것이다. 좀 더 생각해보면 폴리시는 보상보다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정답을 맞췄는데도 보상이 주어지지 않았을 때 인간이던 기계던 뭔가를 더 하게 되어있다. 일시금으로 1억을 주지않고 월별로 10개월에 나눠서 천만원씩 주는것 또한 보상유예라고 볼 수 있다. 이렇게 보상을 얻는 것이 확정적일 때라도 미래에 얻는 보상은 불확실성에 의해 줄어들수도있고, 지급이 정지될 수도 있다는 두려움을 품는다. 중간에 언제든 죽을 수 있기 때문이다. 강화학습에선 미래보상에 대해 할인율이 들어가도록하여 미래보상의 가치를 더 낮추고 현재에 집중하게 만든다. 보상이 유예되면 유예될수록, 개체는 부족함, 배고픈 상태가 유지되기 때문에 보상을 얻기위해 움직이게되어있다. 반드시 행동하게 되어있다. 내가 만약 10만큼 일해서 1만큼의 보상을 받았다면 억울한 감정은 둘째치고 어쨌던 10만큼 일했을 때 든 ..
코코아팟 재설치, pod update, pod install 등 해결책을 모두 시도해봐도 이 오류가 나오신다면 flutter build ios (or macos) 로 한번 빌드를 해준뒤, 실행을하면 잘 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이유는 제발 좀 누가 알려줬으면 좋겠습니다. flutter build는 1. pod install 2. Xcode build 순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아마 xcode build를 통해 코코아팟의 설정이 적용이 되어야하기 때문인가 봅니다.
빙 AI 챗을 사용하려고하니 유해정보 차단 설정으로 채팅을 사용할 수 없다고 나옵니다. 이건 윈도우나 맥등 운영체제나 크롬이나 사파리 같은 웹브라우저 문제가 아니라 빙 자체에 접속하는 설정에 대한 문제였습니다. 1. 빙 사이트 오른쪽 위에 햄버거 모양을 클릭해본다. 유해 정보 차단이 '엄격'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이거만 바꾸면 됩니다. 2. 마이크로소프트 로그인을 한다. 몇번 시도해보니 차단의 설정을 바꾸어도 원래대로 돌아가는 방식으로 되어있습니다. 설정이 저장될 수 있도록 로그인을 먼저 합니다. 3. 유해정보 차단 설정을 보통으로 바꾼다. 유해정보 차단을 클릭하고 들어가면 바로 바꿀 수 있는 칸이 있습니다. 보통으로 바꾸고 저장을 누르세요. 보통으로 바꾸어도 다시 보면 또다시 '엄격'으로 되돌아가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