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평균 독서량 하락세를 그리고 온라인 매체가 발달하며 오프라인 공간을 찾는 사람들 또한 줄어드는 요즘은 더더욱 책방이 힘들어지는 시기다. ‘발품 팔아 물건을 산다.’는 말도 무색해진 지 오래다. ‘발품’보다는 ‘손품’이 늘고 ‘독립서점’ 타이틀을 단 가게는 기하학적으로 증가하는 상황 속에서 서점의 희소가치는 줄어들고 있다. 이용주 대표는 “2016년 대전의 독립서점이 4개였다면 지금은 15개다. 어떤 공간이 새로 생겼지만, 찾아갈 확률이나 재미는 감소했다.”고 씁쓸한 표정을 지어 보였다. 출처 : 뉴스페이퍼(http://www.news-paper.co.kr) 인터넷이 발전하면서 발이 아니라 손으로 일을 한다는건 정말 상징적인 의미가 있는 것 같다. 발을 움직이는 것은 시간과 공간이 함께 변하지만 손을..
전체 글 검색 결과
안녕하세요 홍시입니다. 이번에는 투자의 모호함과 두려움을 해소해주는 가치평가에 대한 글들을 써보려고합니다. 수학적으로 기업들을 계산해 눈에 보이는 숫자로 만들어 낼 수 있다는 건 정말 신기합니다. 이곳에서도 '20자 이내로 요약해서 말해!' 라는 어떤 분의 명언을 지켜 간결하게 글을 쓰고자 노력하겠습니다. :) 삼성전자 안전마진 계산하기 지난 글들에서 안전마진을 계산하기 위해 필요한 삼성전자의 4가지 지표를 모두 구했습니다. 주당 순이익 ( EPS ) 편류성장률 편류 주가수익배수 ( PER ) 최소 요구 수익률 ( MARR ) 이제 이 4가지 지표들을 통해 안전마진을 계산해보겠습니다. 10년 후 eps 안전마진을 계산하기 위해 먼저 10년 후의 주당 순이익( EPS )를 구해야합니다. 10년 후에 한 주..
안녕하세요 홍시입니다. 이번에는 투자의 모호함과 두려움을 해소해주는 가치평가에 대한 글들을 써보려고합니다. 수학적으로 기업들을 계산해 눈에 보이는 숫자로 만들어 낼 수 있다는 건 정말 신기합니다. 이곳에서도 '20자 이내로 요약해서 말해!' 라는 어떤 분의 명언을 지켜 간결하게 글을 쓰고자 노력하겠습니다. :) 편류 주가수익배수( PER ) 개요 앞글에 나와 있듯이 안전마진을 계산하기 위해선 다음과 같은 4가지의 지표가 필요합니다. 주당 순이익 ( EPS ) 편류성장률 편류 주가수익배수 ( PER ) 최소 요구 수익률 ( MARR ) 주가수익배수는 투자한 돈의 원금을 몇년 안에 100% 확보할 수 있는지에 대한 수치입니다. 매년 1000원을 이익을 주는 주식의 가격이 1000원이라면, 1년 뒤에 원금을 ..
안녕하세요 홍시입니다. 이번에는 투자의 모호함과 두려움을 해소해주는 가치평가에 대한 글들을 써보려고합니다. 수학적으로 기업들을 계산해 눈에 보이는 숫자로 만들어 낼 수 있다는 건 정말 신기합니다. 이곳에서도 '20자 이내로 요약해서 말해!' 라는 어떤 분의 명언을 지켜 간결하게 글을 쓰고자 노력하겠습니다. :) 편류 성장률 개요 앞글에 나와 있듯이 안전마진을 계산하기 위해선 다음과 같은 4가지의 지표가 필요합니다. 주당 순이익 ( EPS ) 편류성장률 편류 주가수익배수 ( PER ) 최소 요구 수익률 ( MARR ) 주당 순이익은 '현재 주식 한 주가 1년간 얼마정도 이익을 낼 수 있냐'에 대한 지표로 네이버 금융, 금융사 홈페이지 등 기업 분석을 제공하는 곳에서 쉽게 제공하고 있습니다. 주당 순이익( ..
안녕하세요 홍시입니다. 이번에는 투자의 모호함과 두려움을 해소해주는 가치평가에 대한 글들을 써보려고합니다. 수학적으로 기업들을 계산해 눈에 보이는 숫자로 만들어 낼 수 있다는 건 정말 신기합니다. 이번에도 '20자 이내로 요약해서 말해!' 라는 어떤 분의 명언을 지켜 간결하게 글을 쓰고자 노력하겠습니다. :) 안전마진이란? 안전마진은 워렌버핏의 스승인 벤저민 그레이엄이 창안한 개념으로 쉽게 말해 기업을 손실의 위험없이 안전하게 살 수 있는 가격은 얼마인가? 라는 질문에 대한 대답입니다. '절대 돈을 잃지 않는다' 라는 것이 원칙인 벤저민 그레이엄의 신념처럼 안전마진의 개념은 정말 보수적으로 낮은 금액에 기업을 살 수 있도록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안전마진은 그림에서 보이는 것처럼 여러가지 요소를 고려하여 ..
경제적 해자 경제적 해자는 워렌버핏의 회사 버크셔 헤서웨이에서 사용하는 단어에서 유래된 용어입니다. 투자를 하는데 있어서 쉽게 손해를 보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하는 어떤 것을 지칭하고 있습니다. 해자(Moat)는 단어 중 이해 안가고 어렵기로 상위권을 달성하지 않을까 싶은 단어입니다. 역사나 전쟁사에 관심이 있지 않은이상 등한시 하게되는 단어인데요. 우리나라에는 성의 개념이 크게 발달하지 않았지만 성과 해자가 있는 곳이 있습니다. 전세계적으로 전쟁에서 이기고 성을 지키기 위해서 필수적이었던 하나의 개념입니다. 해자는 적군들이 성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성 주변에 물을 채워넣은 시설을 말합니다. 미적인 이유가 아니라 철저하게 불편함을 자처하는 이 시설은 평상시에 '다리'에 의존합니다. 아군은 다리로 통행할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