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홍시입니다.

이번에는 투자의 모호함과 두려움을 해소해주는 가치평가에 대한 글들을 써보려고합니다.

수학적으로 기업들을 계산해 눈에 보이는 숫자로 만들어 낼 수 있다는 건 정말 신기합니다.

이곳에서도 '20자 이내로 요약해서 말해!' 라는 어떤 분의 명언을 지켜 간결하게 글을 쓰고자 노력하겠습니다. :)

 


편류 성장률 개요

 

<이 글은 '아빠와 딸의 주식투자 레슨' 책을 참고하여 작성 하였습니다.>

앞글에 나와 있듯이 안전마진을 계산하기 위해선 다음과 같은 4가지의 지표가 필요합니다.

  • 주당 순이익 ( EPS )
  • 편류성장률
  • 편류 주가수익배수 ( PER )
  • 최소 요구 수익률 ( MARR )

 

주당 순이익은 '현재 주식 한 주가 1년간 얼마정도 이익을 낼 수 있냐'에 대한 지표로 네이버 금융, 금융사 홈페이지 등 기업 분석을 제공하는 곳에서 쉽게 제공하고 있습니다. 주당 순이익( EPS )는 제무제표에 공식적으로 적혀있는 수치는 아니지만

 

< 당기순이익(기업의 총 순이익) / 주식의 총 발행수  >

 

이와같은 간단한 계산을 통해 구할 수 있습니다. 모든 주식의 순이익을 통해 한 주 당 순이익을 알 수 있습니다.

 

네이버 금융에서 제공하는 기업실적분석

 

하지만 성장률은 어디에도 적혀있지 않기에 직접 계산을 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어떤 수치가 성장했을 때 기업이 성장했다고 말할 수 있을까요?

성장률을 계산하기 위해선 다시한번 4가지 지표가 필요하게 됩니다.

 

< 순이익, 자기자본, 매출액, 영업활동으로 얻은 현금 >

 

이 4가지 지표가 지난 10년간 매년 10%이상 성장해야만 투자하기에 적절한 기업이라고 평가하는게 일반적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4가지 지표는 모두 사업보고서에 명시되어있으며 사업보고서는 전자공시시스템 ( http://dart.fss.or.kr/ ) 에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기업은 어떤 해는 엄청난 성장을 하고 어떤 해는 - 성장률을 기록하기도 합니다.

성장률이 매년 10%라는 것을 정확히 지켜져야하는 것은 아니지만 어느정도의 예측과 기업의 상황을 고려해서 성장률을 계산합니다. 편향이 있을 수 있고 실수가 있을 수도 있지만 기업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 꼭 필요한 수치입니다.

또한 성장률은 딱 정해져있는게 아니라 안전마진을 계산하는 과정에서 보수적으로 정할지, 공격적으로 정할지를 매번 바꿔가며 어느정도인지 예측할 수 있기에 우선은 큰 그림으로 수치를 산출 해내야합니다.

 


삼성전자 성장률 지표 찾기

 

가장 대표적인 기업 삼성전자의 성장률을 직접 계산하며 실습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성장률 기본 지표 4가지를 구하기 위해서 전자공시시스템에 접속합니다.

 

체크한 곳을 모두 클릭해야합니다.

 

검색을 할 때 회사명에 삼성전자를 적고 기간을 전체로 둡니다.

그리고 정기 공시 중, 사업보고서를 체크합니다.

반기보고서, 분기보고서등 여러가지 보고서가 있어서 햇갈릴 수 있지만 '사업보고서'가 가장 대표적인 보고서이며 사업보고서는 매년 12월말을 기준으로 작성한 보고서입니다.

 

삼성전자 사업보고서

매년 꼬박꼬박 보고서가 올라오기 때문에 빠지는 부분은 절대 없습니다.

이곳에서 모든 지표를 볼 수 있습니다.

이제 사업보고서 안에서 [ 순이익, 자기자본, 매출액, 영업활동으로 얻은 현금 ] 을 하나 하나씩 찾아보겠습니다.

 

  • 1. 순이익

 

순이익

순이익은 왼쪽에서 '제무제표'를 선택하고 스크롤을 중간정도로 맞췄을 때 있는 "포괄손익계산서"에 명시되어있습니다.

명칭은 당기순이익, 당기 손익 등 비슷비슷하지만 어렵지않게 구별해낼 수 있습니다.

기타포괄손익은 금융자산이나 부동산의 가치 등 직접적이진 않지만 가치가 상승하여 이익을 본 것들을 말합니다.

하지만 그 가치는 유동적이며 그것들을 지금당장 팔지 않는 이상 순이익이라고 보기에는 애매하고 문제가 많기 때문에 따로 분류하여 계산합니다. 기업의 성장률을 계산할때는 이 기타포괄손익은 고려하지않습니다. 당기순이익만을 고려합니다.

 

  • 2. 자기자본

 

재무상태표

자기자본은 재무제표에서 가장 위에있는 '재무상태표'에 있습니다.

자산 = 자본 + 부채 라는 기본적인 공식에서 '자본'은 빚을 뺀 순수하게 가지고있는 자기자본을 말합니다.

 

  • 3. 매출액

 

손익계산서

매출액은 제무제표에서 2번째에 있는 '손익계산서'에 기록되어있습니다.

이익과 상관없이 말그대로 얼마치를 팔았냐를 기록한 숫자입니다.

 

  • 4. 영업활동으로 얻은 현금

 

현금흐름표

 

마지막으로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은 제무제표의 마지막쯤에 있는 '현금흐름표'에 기록되어있습니다.

영업활동은 가지고있는 것들로 (금융자산, 부동산, 재화, 용역, 인적자원 등등 ) 만들어낸 순수한 활동을 말합니다.

가지고있는 것을 얼마나 잘 활용했느냐에 대한 지표가 될 수 있겠죠?

제일 첫행은 2행~9행까지의 내용을 포괄하고 있습니다. 맨 앞의 약간의 여백들은 종속관계를 나타냅니다. 

영업에서 창출된 현금흐름 + 이자 + 배당금 수입 - 법인세 납부액를 통해 계산된 결과값입니다. 

 

이제 사업보고서의 재무제표를 통해 4가지 지표가 어디에있는지 모두 알게 되었습니다.

스크롤을 위아래로 내려가면서 재무제표를 거의다 훑어보게 되었는데 재무제표가 익숙하지않거나 처음 보시는 분들도 이 과정을 통해 많이 친숙해지지 않았을까 생각합니다!

그럼 이제 10년간의 4가지 지표를 모두 모아 '편류성장률'을 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삼성전자 편류 성장률 계산하기

 

편류 ( windage ) 성장률은 앞글에서 설명했듯이 그냥 성장률이 아니라 '바람의 방향과 세기를 고려한 성장률'입니다.

10년후의 과녁을 맞추기 위해 어떤 방향으로 화살을 쏠지를 정해야하기 때문에 여러가지 요소들을 고려해 추측해야합니다.

우선 추측에 도움되는 객관적인 성장률들을 구하는 것으로 시작합니다.

 

10년간 4가지 지표

삼성전자의 10년간 4가지의 지표를 모두 모아봤습니다.

(2010년도의 성장률을 구하기위해서 2009년까지의 지표까지 가져왔습니다.)

우선 매년 성장률을 구해보겠습니다. 작년에 비해 얼마나 성장했는지 입니다.

단위는 백만원이지만 성장률을 구할 때는 수치를 그대로 사용해도 되겠죠.

계산은 간단합니다.

 

성장률

지난해에 비해서 얼마나 수치가 증가했느냐?

(올해 값-작년 값) / 작년 값

 

이렇게 간단하게 구할 수 있습니다.

모든 지표, 모든 년도마다 계산합니다.

 

모든 지표의 성장률

 

2017년엔 4가지지표 모두 압도적인 성장을 했다는 것을 눈으로 볼 수 있네요.

이제 년도마다 변하는 성장률에 더해 3년, 5년, 7년, 10년 성장률까지 구해보겠습니다.

 

최종 성장률

 

평균적으로는 각각의 지표가 매년 19%, 10%, 3%, 11%가 증가하였습니다.

3년 성장률은 (2019년값 - 2017년 값) / 2017년 값 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5년 성장률은 (2019년값 - 2015년 값) / 2015년 값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7년, 10년도 마찬가지로 계산합니다.

이렇게 큰 범위로 성장률을 계산하면 매년 변동하는 값에 좌우되지않는 큰 그림을 볼 수 있는 수치가 됩니다.

 

평균성장률만을 보고 그 기업이 향후 매년 평균적으로 그 수치만큼 성장하겠다고 생각하는 건 비약이 크다고 말합니다.

매년 계산된 성장률 뿐만아니라 3년, 5년, 7년, 10년 성장률의 수치도 관찰하고 기업의 내부상태, 특수한 상황 등을 고려해 성장률을 정해야만합니다. 계산된 수치와 함께 기업에 대한 이해도, 정확한 직관이 함께 한다면 평균이 아닌 편류 성장률을 제대로 산출 해낼 수 있을 것입니다.

 


직관으로 판단하기

 

화성탐사선 'Insight'

 

삼성전자의 순이익은 10년전에 비해 -5% 정도로 감소하였지만 자기자본은 99% 증가하였고 매출액은 변동이 없는 것으로 보입니다.

여러분은 삼성전자의 편류성장률은 몇 %라고 생각하시나요?

매년 몇%가 성장할 것으로 기대되나요?

성장률이 10%가 예상되었을 때 투자대상으로 적합하다고 워렌버핏과 찰리멍거는 말합니다.

그렇다고해서 꼭 10%가 되야하는게 아니라 변동의 폭, 일관성 등을 고려해야합니다.

워렌버핏은 시즈캔디가 성장률이 4% 정도에 불과했지만 브랜드의 경제적해자, 성장률의 일관성 등을 보고 투자를 결정해 큰 수익을 보았습니다. 

가장 수학적인 계산이 필요할 것 같은 투자의 세계에서

마치 양자역학의 세계처럼 끝에 끝까지 와서는 결국 자신의 직관과 모호함을 견뎌내고 판단해야하는 것이 참으로 신비롭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안전마진을 계산하기위해 스스로 구해야하는 두번째이자 마지막 지표인 '편류 주가 수익배수(PER)'을 계산하도록 하겠습니다.

숫자가 많이 나와서 힘드셨을텐데 끝까지 실습해보신 분들에게 박수를 보냅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라이프코리아트위터 공유하기
  • shared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