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제 : 어떤 사람의 일그러진 표정은, 나를 무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1. 어떤 사람이 일그러진 표정으로 실제로 나를 무시한다.-> 기존 명제가 참이므로, 명제를 유지한다. 2. 어떤사람이 일그러진 표정을 지었지만, 나에게와서는 친절한 행동을 했다.-> 기존 명제가 깨지는 순간이므로, 적어도 그 사람에게는 명제를 더이상 들이대지 않아야한다. 3. 어떤사람이 환한 표정으로 왔지만, 나를 무시하는 행동을 했다.-> 기존 명제와 관련이 없으므로, 기존명제는 건드려지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기존명제는 아직까지 참이다. 그말은 환한 표정을 짓는 사람이 많다고하더라도, 일그러진 표정을 경계하는 것을 늦추는 것은 절대 해선 안된다는 것이다. 4. 어떤 사람이 환한 표정으로 와서, 나를 친절하게 대했다.-> 마찬..
수학/논리 검색 결과
해당 글 2건
[ 수학논리 ] 함의 ( implies )
수학/논리
2025. 2. 21. 12:51
[ 수학논리 ] 이중부정은 강한 긍정이 될 수 없다.
미국 법에서 "무죄(Not guilty)" 평결은 검찰이 유죄를 입증하지 못했을 때 내려진다고 한다.하지만 그것이 피고인이 실제로 ''무죄(Innocent)'' 라는 것을 의미하진 않는다. 아직 심증이 남아있는 상태라고도 볼 수 있다.언제든 죄를 저지른 사람이 될 수 있는 확률이 있다.원래 죄와 관련이 없던 일반사람들과 동일선상에 놓일 수 없으며, 죄인일 가상적인 확률이 뭍어있다. 흔히들 [ 이중부정은 강한 긍정 ] 이라고 말하는데 수학논리적으로 완전히 틀렸다고 볼 수 있다. 긍정은 그냥 긍정으로 표현하면 그만이다.하지만 이중 부정으로 표현한다는 것자체가 그러한 긍정과는 다른 표현을 하고 싶기 때문이다. "영화가 나쁘지 않았어" 라는 표현은 "영화 너무 좋았어!!" 라는 표현과 전혀 같지 않다는 걸 누구..
수학/논리
2025. 2. 20. 15: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