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벽한 짝, 정확한 인터페이스는 2가지의 속성을 가지고 있으면 된다.
1. 나의 문제를 해결해준다. ( 단점을 가려줌 )
2. 나의 문제를 문제가 아닌 오히려 좋은 것으로 전환하게 한다. 오히려 활용하게 한다. ( 내 장점의 요소를 가져가 그것을 긍정해줌 )
내 장점을 가져갔다는 건 한마디로 내 단점이 있었던 것조차 긍정하는 것이다. ( 기존에 있었던 세계와의 직접적인 연계, 관계성 )
단점이 있어야만 상대적인 장점이 나오기 떄문이다. 그 상대적인 장점을 가져갔다는 건 문제를 가지고 있던 내가 아무 잘못이 없었던 것이 된다.
기존의 세계관이 있어야만 하는 필수성을 가지는 것일 때 정신적, 사회적 문제가 해결된다.
복잡하게 말했지만 어쩃든 서로가 서로를 원하는 상태이다. 전자와 자기가 만나 빛의 속도를 형성하는 것처럼 가장 마지막의 방법이다.
1번조차 충족되지 않는 허상도 많다.
1번만 충족하는것도 세상에 너무많다.
2번만 충족하라며 '노력'을 강조하는 정신병자들도 많다.
1번과 2번을 모두 충족한건 너무나도 드물다.
'인터페이스 > 인터페이스 디자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생 전략] 남아있는 것 빌려주기 (0) | 2022.07.18 |
---|---|
[인터페이스 디자인] 연결의 성립 (0) | 2022.05.31 |
[인터페이스 디자인] 비교 비유 대우 대조 은유 (0) | 2022.01.24 |
[인터페이스 디자인] 상대방이 쓸모없다고 생각하는 건데 나는 격하게 원하는 것 (0) | 2022.01.20 |
[인터페이스 디자인] 대등한 관계 (0) | 2022.01.19 |